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typescript
- Python
- local
- 프라하
- node.js
- 메르페이
- JenkinsFile
- 방콕
- 三井住友カード
- 페이페이
- pyenv
- 태국
- 熱海
- 釜つる
- codebuild
- Selenium
- 카마츠루
- 뮌헨
- react.js
- javascript
- terraform
- PostgreSQL
- 미츠이 스미토모
- duckdb
- PayPay
- CSV
- vba
- documentdb
- 아타미
- 체코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62)
도쿄사는 외노자
DataTables로 테이블 출력 시, 기본적으로는 한 화면에 들어가도록 자동 조정이 되어버린다.보통은 그렇게 한 화면에 다 볼 수 있게 해 주는게 좋긴 한데...column수가 많으면 column을 지맘대로 접어버리니까...가끔은 가로 스크롤을 써서라도 내용을 한줄에 이쁘게 뽑고 싶어진다. 근데 데이터테이블은 에 클래스 지정이라든가 하기 애매하니까...CSS class를 입히려면 그냥 데이터테이블 뽑은 이후에 테이블 객체를 가져와서 addClass를 쓰라고 하드라.근데 괜히 그런식으로 테이블 가져오기도 싫고, CSS도 따로 지정하기 귀찮고...괜히 DataTables까지 망가지는것도 싫으니 그냥 DataTables에서 해결해 버리기로 했다. 일단 결론부터 적자면 1234567891011121314151..
한번 만든 Modal을 각 행의 버튼 클릭에 따라 여러번 불러내는 작업이 있었다.이 과정에서 상세 데이터가 있는 경우는 DataTable로 데이터를 화면 출력하고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메시지만 출력. 그런데 해당 테이블의 수를 확인하여 1이상일 경우 데이터테이블을 없애는 과정에서datatable.destroy만으로는 해결이 되지 않기 때문에... 언제나처럼 테이블.clear()를 사용해서 없애 보려고 했다.그런데 clear is not a function이라는 에러가 뜨더라...remove를 쓰려니 자식 테이블 잡기가 애매하고...혹시나 해서 table.empty() 를 썼더니 해결되었다.
Modal에서 데이터테이블을 뽑아놓고 보니데이터는 그대로 잘 나오는데, 테이블 헤더의 사이즈가 맞지 않더라.한번 헤더를 클릭해서 정렬시키고 나면 사이즈가 조절되긴 하는데...역시 열었을 때 바로 맞춰지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DataTable옵션에서 자체 해결은 힘든 것 같고...나중에 CSS를 조절하는 방법 등 여러가지가 나오긴 했는데결국 난 이 방법으로 해결했다. 1234 // when modal shown, trigger resize for datatables adjust width $('#modal').off('shown.bs.modal').on('shown.bs.modal', function(e) { $(window).trigger('resize'); });Colored by Color Scri..
요즘 보험과 연계된 개인번호(일본판 주민번호) 입력 화면을 만드는 중인데,이 개인번호라는 것이 일단 우리나라 주민번호처럼 일정 패턴을 가지고 있더라.패턴 자체야 뭐 중요한 것은 아니니 넘어가고... 여하튼 어제의 업무를 잠시 설명하자면-1. 입력 화면에서 개인번호를 입력받아, 개인번호 형식이 맞는지를 확인한다.2. 올바른 패턴이라면 다음 화면으로 이동3. 개인번호와 그외 정보를 연관지어 확인 화면을 띄움4. 확인 화면상에서 업무용 메모를 입력 후, 확인 버튼을 누르면 입력 완료.라는 것인데... 이용자에 따라선 이 「업무용 메모」란에 개인번호를 넣어버리는 경우가 있다고 하니,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오늘의 포스팅 내용이다. 목표 - 입력된 업무용 메모를 받아, 그 문자열 내에 개인번호와 동일한 ..
jQuery DataTables의 추가 기능 중, Buttons Extension이라는 기능이 있다.이전 버전의 TableTools-Buttons와 동일한 기능이다. DataTables의 다른 항목과 마찬가지로, 테이블에 붙어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데...이름 그대로 버튼을 달아준다.설정하는 것 만으로 복사, 출력, csv・excel・pdf출력이 가능하다. 기본 출력 위치가 lengthChange와 동일하기에,아무 설정도 하지 않고 Buttons를 달았다면 lengthChange가 사라지는 불상사가 발생한다.이는 DOM옵션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DOM은 단 한줄로 DataTable에 표시할 항목을 설정 가능하다.데이터테이블의 각 옵션은 기본적으로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데,dom설정을 통해, CSS변경 없..
Bash에서의 현재 날짜 및 시간 출력1echo "$(date '+%Y.%m.%d') $(date '+%H:%M:%S') PROCESS START"cs 실제 출력12016.07.12 16:17:34 PROCESS STARTcs 다른 형식은 여기 참조
Java로 작성해 둔 API를 리눅스 서버에서 Bash로 돌려야 했다.보안상 Token을 따서, 그걸 집어넣어 API를 돌리는 방식인데...일단 어찌어찌 CURL로 Token은 따 왔는데, 받아오고 보니 JSON으로 리턴되어 오더라.남은 건 KEY를 집어넣어서 Token값을 따오는 것 뿐인데...보이는 거라곤 다 뭔가를 깃허브에서 갖고와서 그걸 써서 따온다...라는 것이라한참동안 다른 방법을 찾아다녔다. 결국 찾아낸 것이 이 방식. token = $response | sed -e 's/^.*"token_key"[ ]*:[ ]*"//' -e 's/".*//'` 코드에 적용하면 이런 느낌이다.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bin/sh APP_NAME=bulk_del..
A2와 A2MN이라는 두 개의 DB에서 각각 List형식으로 데이터를 받아 와, A2에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가 A2MN에 존재한다면 해당 데이터를 전부 삭제하는 기능을 만들어야 했다. 그래서 생각해 낸 것이1. A2와 A2MN으로 이중 루프를 돌리고, 키가 일치할 경우 A2MN리스트에서 해당 데이터를 삭제2. 루프가 끝나면, A2MN의 사이즈를 체크3. 사이즈가 0보다 클 경우, 다시 루프를 돌려서 루프 안에서 각 데이터를 하나씩 삭제하며 삭제 로그 기록이었는데... 이런 느낌으로 적어 봤더니12345678for (Map a2 : a2mp) { for (Map a2mn : a2mnmp) { if (a2.get("join_no").toString().equals(a2mn.get("join_no").toSt..
Oracle과 postgreSQL을 동시에 사용하는 시스템을 다루던 중,언제나처럼 LIMIT를 써서 건수 제한을 걸었더니 에러가 뜨더라.그래서 검색해 보니 ORACLE에는 LIMIT가 없었다...알아본 김에 적어두었음. 1234ORACLE : SELECT * FROM TABLE WHERE ROWNUM
자격 상실 후 7년 이상 지났을 경우, 해당 데이터를 삭제하는 형태의 작업을 해야 했다.이미 SQL은 만들어져 있었기에 내가 어찌 만질 수는 없고,그냥 자격 상실 일자가 (현재 날짜-7년)보다 오래된 경우의 데이터를 일단 뽑아내기로 했다. parameter가 Date형식이기에, Date에서 연도 계산을 하려다가 Calendar 쪽이 더 편하게 계산할 수 있길래 그냥 이 쪽으로 선택. 123Calendar prevYear = Calendar.getInstance();prevYear.add(Calendar.YEAR, -7);Date prev7year = prevYear.getTime();cs